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

[주식] IPO 란?(기업공개) IPO 란?(기업공개) IPO란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로, 기업이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상장 기업이 공식적으로 거래되기 위해서 기업 공개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렇게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기 위해 처음으로 주식을 공개적으로 발행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IPO를 하는 이유는? IPO를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기업의 성장을 하기 위해선 투자가 필요한데 자금이 없으면 투자가 힘들 겁니다. 투자금 확보를 위해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도 하며, 채권을 발행하기도 하는데,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유상증자*를 해서 자금을 확보를 하기도 합니다.(※ 유상증자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시장 내에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행위입니다.. 2023. 4. 6.
MDD 란?(Maximum Draw Down, 최대 손실) MDD는 Maximum Draw Down의 약자로 한국말로는 최대 손실 또는 최대 손실입니다. MDD는 주식 투자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사용해야 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 중 하나로 봐야 합니다. MDD(Maximum Draw Down) 뜻 MDD란 특정 기간 동안 포트폴리오의 가격이 고점 대비 저점 낙폭이 가장 큰 구간의 낙폭 값을 말합니다. 즉, 투자하면서 투자자가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손실을 뜻합니다. MDD는 특정 자산이 얼마나 크게 하락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자산에 대한 리스크를 더 잘 이해하고 포트폴리오 구성이나 리밸런싱(Rebalancing) 전략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MDD(Maximum Da.. 2023. 4. 5.
[주식] 시가총액이란? 주식용어 중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는 시가총액입니다. 기본 중 하나인 시가총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시가총액 시가총액은 '기업의 가격(가치)'를 측정하는 지표로, 현재 시장에서 상장된 모든 주식의 총가치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주식의 현재 가격에 발행된 모든 주식 수를 곱하여 계산합니다(시가총액 = 주가 x 주식 수). 예를 들어, A 기업이 있습니다. A 기업은 1개의 주식이 10,000원이고 발행된 주식수는 1억 주이면, 10,000 x 1억 계산을 하면 1조가 됩니다. 이 A의 기업의 시가총액은 1조 원입니다. 시가총액 계산법 시가총액 = 주가 x 주식 수 한국기업 중 삼성전자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삼성전자주식창입니다. 우측에 보면 시가총액과 상장주식수가 나오며, 왼쪽엔 1주당 주식가격이 나옵니다. .. 2023. 4. 4.
퀀트 투자란(퀀트투자 장점 단점) 퀀트 사전적 의미 "퀀트"는 Quantitativ(양적인)의 준말로, 퀀트 투자는 양적인 테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의미한다. "퀀트"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고 관리하는 투자 방법론을 가리키기도 한다. "퀀트 투자"라는 용어는 1980년대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기술과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욱 발전해 나가고 있다. 퀀트 투자란? 퀀트투자는 수학적 모델과 통계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방식이다. 이는 전톡적인 투자 방식과 달리 인간의 주관적 판단이나 감정에 의존하지 않는다. 퀀트투자에서는 데이터 분석과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시장의 동향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린다. 이는 과거의 데이터를 .. 2023. 4.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