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D는 Maximum Draw Down의 약자로 한국말로는 최대 손실 또는 최대 손실입니다.
MDD는 주식 투자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사용해야 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 중 하나로 봐야 합니다.
MDD(Maximum Draw Down) 뜻
MDD란 특정 기간 동안 포트폴리오의 가격이 고점 대비 저점 낙폭이 가장 큰 구간의 낙폭 값을 말합니다. 즉, 투자하면서 투자자가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손실을 뜻합니다.
MDD는 특정 자산이 얼마나 크게 하락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자산에 대한 리스크를 더 잘 이해하고 포트폴리오 구성이나 리밸런싱(Rebalancing) 전략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MDD(Maximum Daraw Down) 계산하는 방법
주식의 MDD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MDD = 최저점 - 전고점 전고점 ×
100%
삼성전자를 예로 들면

최저점은 51,800원이고 최저점 이전의 최고점은 69,600원입니다. 이 최고점과 최저점을 MDD 계산식에 대입해 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MDD = 42,300 - 62,400 62,400 ×
100% = -24%
이로 MDD가 보여주는 수치는 투자를 하게 되면 포트폴리오가 하락을 해도 어느 정도 감내를 할 수 있는지의 대한 지표가 됩니다. MDD가 높다는 것은 낙폭이 큰 것이며 MDD수치가 낮다는 것은 0에 가깝다고 보면 됩니다.
기준을 다르게 하여 최저점이 아닌 현재주가와 52주 최고가를 비교해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고점대비 하락률 = 52주 최고가 - 현재주가 52주 최고가 ×
100%
위의 식으로 계산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69,000 - 63,900 69,000 ×
100% = 약 7%
MDD 계산식을 참고하여 포트폴리오 꾸리는데 유용하게 사용하게 사용하면 될 거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