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BPS란?(BPS 계산하는 방법, BPS 고려 및 주의할점)

by jjurin 2023. 4. 16.

주당순자산
BPS란

 

BPS(주당순자산)란

BPS(주당순자산)는 "Book Value Per Share"의 약어로,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이는 기업의 자산 가치를 주당 가치로 나눈 것으로,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BPS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며, 주가순자산비율(PBR)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 가치로 나눈 것이고, 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것입니다.

 

순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입니다. 부채는 기업의 채무이므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이 실제로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BPS는 기업의 순자산 가치를 주식 수로 나눈 것으로, 주당 가치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기업 A의 순자산이 10억원이고 발행 주식 수가 1백만 주라면, BPS는 10,000원이 됩니다. 이를 통해 기업 A의 주가와 비교하여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PS를 고려할 때는 회계처리 방법, 재무제표의 신뢰도,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BPS는 시장 가격과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시가총액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BPS 계산하는 방법

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BPS를 계산하려면, 기업의 재무재표에서 순자산과 발행 주식 수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재무재표는 기업의 공식 웹사이트나 금융정보 제공 업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PS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의 순자산 계산
    •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하여 순자산을 계산합니다.
    • 순자산 = 총자산 - 부채
  2. 발행 주식 수 확인
    • 기업의 재무재표에서 발행 주식 수를 확인합니다.
  3. BPS 계산
    • BPS = 순자산 ÷ 발행 주식 수

예를 들어, 기업 A의 재무제표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었다고 가정해봅시다.

  • 총자산: 100억원
  • 부채: 20억원
  • 발행 주식 수: 1백만 주

이 경우, 기업 A의 순자산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순자산 = 총자산 - 부채 = 100억원 - 20억원 = 80억원

그리고 발행 주식 수가 1백만 주이므로, B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BPS = 순자산 ÷ 발행 주식 수 = 80억원 ÷ 1백만 주 = 8만원

따라서, 기업 A의 BPS는 8만원입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은 기업의 주가가 BPS에 비해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BPS 고려 및 주의할점

BPS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지만, 투자자들이 BPS를 고려할 때 몇 가지 주의점이 있습니다.

  1. 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이는 회계처리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BPS를 비교할 때는 기업들의 회계정책과 처리 방법을 비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BPS는 시장 가격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순자산이 시장 가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PS를 비교할 때는 시가총액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BPS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기업이 성장할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는 BPS가 낮다면, 단순히 BPS만으로 기업 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할 수 있습니다.
  4. BPS는 기업의 적정 가치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EPS, 주가 수익비율(P/E ratio), 주가순자산비율(PBR) 등 다른 지표들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댓글